중국 상하이자동차가 SUV의 대명사로 불리는 쌍용자동차를 인수한 건 2004년 10월. 노조와 시민사회단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쌍용차는 헐값으로 매각됐다. 그러나 상하이차는 우량기업이던 쌍용차를 불과 4년 만에 껍데기만 남겨 놨다. 인수 이후 단 한 푼도 기술개발에 투자하지 않았던 것이다. 엎친데덮친 격으로 글로벌 수요 감소의 직격탄을 맞은 쌍용차는 2008년 12월 자금난이 가시화 되면서 평택 등 전 공장의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다.
2009년 1월 9일 법정관리를 신청한 쌍용차는 2월 6일 법정관리 신청이 받아들여졌고, 법정관리인으로 박영태 쌍용차 기획재무 부본부장, 이유일 전 현대차 사장이 공동 선임됐다. 이때만 해도 노동자들은 조속한 경영정상화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법원이 쌍용차에 대한 고강도 구조조정을 요구하면서 사측은 쌍용차 총인원의 36%에 해당하는 2646명 인력감축안을 발표했다.
노조에서 고용유지를 위한 방안으로 근로형태를 주야간 5시간씩, 3조2교대 형태로 운영하고 주간연속 2교대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측은 4월 9일 예정대로 희망퇴직과 정리해고 절차에 돌입했고, 노조는 4월 15일 84%의 찬성으로 쟁의행위를 가결, 총파업을 포함한 모든 방법을 총동원해 구조조정을 저지하겠단 각오를 다졌다.
사측은 5월 8일 경기지방노동청에 정리해고 계획을 신고하고 정리해고를 강행했다. “함께 살자”는 노동자들의 절규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노조는 5월 21일 평택공장으로 결집, 정문을 봉쇄했고 사측은 31일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6월 2일 쌍용차는 해고대상자 1056명에게 우편으로 해고를 통보하고, 다음 날 정리해고 법적 효력이 발생하는 8일 이후 공권력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분노한 노동자들은 공권력 침탈에 대비해 무장하는 한편, 정부에 공적자금을 투입해 사태 해결에 나설 것을 끊임없이 촉구했다.
용역업체를 앞세운 사측은 지속적으로 공장 진입을 시도하고, 관리직과 비해고자들도 동참시켰다. 이들을 막으려는 농성 노동자들과 용역업체 직원 간에 폭력 사태, 대치상황이 연일 이어진다. 경찰은 7월 16일 공장을 완전히 봉쇄하고 외부 출입을 막았다. 음식물 반입차단, 식수 반입차단, 의료진 진입차단이 연이어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