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문(China Moon, 1994)

브레이튼시의 경찰 카일 보딘은 강력계의 유능한 형사이다. 그는 특유의 직감과 경험으로 사건 현장에서 결정적인 단서를 잡아내기로 정평이 나있다. 어는날, 그는 JJ라는 술집에서 아름다운 한 여인에게 마음을 빼앗긴다. 그녀의 이름은 레이첼. 그녀는 이미 다른 사람의 아내였지만 카일은 본능적으로 끌리는 감정을 주체할 수 없었다. 서로에게 이끌린 두 사람은 은밀한 만남을 지속한다.

어느날 밤, 레이첼을 호수로 데려간 카일은 아름다운 달빛아래서 할머니에게 들은 보름달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달이 접시 모양으로 크고 둥글게 돌때면, 이상한 일이 일어난다고…” 그가 사랑에 빠진 여인 레이첼은 부유한 은행가의 아내지만 불행한 결혼생활을 지속하고 있었다. 이웃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카일은 그녀가 남편에게 구타당한 것을 보고 분개하지만 레이첼은 아무말 없이 마이애미로 가버린다.

며칠후 카일을 찾아온 레이첼은 함께 떠나기 위해 짐을 꾸리러 집에 갔다가 싸움 끝에 남편을 죽이게 된다. 흥분한 레이첼의 연락을 받고 현장에 도착한 카일은 누명을 벗기 힘든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레이첼을 도와 시체를 호수에 버리고 집과 차에 남아있는 증거를 없앤다. 그러나 수사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카일에게 불리한 증거가 발견되고…

나 나 나 : 여배우 민낯 프로젝트(My Selves, 2011)

카메라를 받아 든 배우들은 자신의 모습을 찍기 시작한다. 김꽃비는 를 통해 만난 영화 친구들을 만나러 해외로 날아간다. 그곳에서 친구들과 파티를 하기도 하고, 영화를 촬영하기도 한다. 그리고 사이좋은 동생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서영주는 영화촬영을 쉬고 공연과 배우와 조연출 등으로 바쁜 […]

조지 해리슨(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2011)

‘비틀즈의 철학자’, ‘조용한 비틀’로 불리던 조지 해리슨은 그래미 상을 11차례 수상하고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두 번이나 입성한, 팝 음악 역사에서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뮤지션이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밴드 ‘비틀즈’의 일원으로만 존재하기엔 너무나 깊고 넓었던 그의 세계는 비틀즈 해체 이후 문을 […]

미국의 바람과 불(An Escalator in World Order, 2011)

해방 이후 우리 역사에서 미국은 종교적 신념의 대상과도 같았다. 감독의 의도를 드러내는 내레이션 하나 없이, 기록 필름과 현재 우리사회의 모습들을 엮은 의미심장한 다큐멘터리가 탄생했다. 한국 근・현대사 교육이 전무한 세대가 꼭 한번 봐야 할 영화. (2011년 12회 전주국제영화제) 이 영화는 김경만 […]

우쿨렐레 사랑모임(Ukulele Love Together, 2011)

2006년 1월에 창단한 베누스토 우쿨렐레 앙상블(이하 우쿨렐레 앙상블)은 아마추어 음악인 연합회 ‘베누스토’ 소속의 우쿨렐레 연주팀이다. 대학생부터 교사, 변리사, 중년주부까지 직업도 연령도 다양한 20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늘 즐거움 가득한 양재동 연습실을 시작으로 지역 축제와 노인요양 보호센터, 불우 아동 시설 등 […]

두 개의 문(Two Doors, 2011)

2009년 1월 20일, 철거민 5명, 경찰 특공대원 1명 사망. 생존권을 호소하며 망루에 올랐던 이들은 불과 25시간 만에 싸늘한 시신이 되어 내려 왔고, 살아남은 이들은 범법자가 되었다. 철거민의 불법폭력시위가 참사의 원인이라는 검찰의 발표, 공권력의 과잉진압이 참혹한 사건을 만들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부딪히는 […]

꿍따리 유랑단(2011)

한국 최고의 댄스 가수로 활동하던 2000년 불의의 교통사고로 장애(척수손상마비)를 갖게 되었으나 꿋꿋이 이겨내고 제2의 삶을 시작한 강원래. 그가 자신과 비슷한 장애 예술가들을 모아 꾸린 공연단체 ‘꿍따리 유랑단’의 감동 실화를 바탕으로 한 희망 다큐멘터리. 한 팔이 없는데도 비장애인들에 맞서 한국 무에타이 […]

시대정신 : 무빙 포워드(Zeitgeist : Moving Forward, 2011)

전편에 이어 전반적인 사회의 기존 관념과 주의, 이념 등을 통렬히 뒤엎는 반론을 조목조목 근거 자료를 제시하며 반박한다. 나아가 매일 매일 노예처럼 삶의 궤적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운명인양 순응하며 살아가는 현대인의 생활 반경과 우리가 고정화 되어 알고 있는 관념들에 대해서도 반론을 제시한다. […]

프란체스코와 교황(Francesco and the Pope, 2011)

바티칸의 ‘시스티나 예배당 성가대’로 교황 앞에서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것이 영광스러운 ‘프란체스코’는 아직 초등학교 3학년이다. 로마의 ‘포르투엔스’에서 엄마와 쌍둥이 형들과 함께 사는 소년은 일요일이면 미사에 참석하기 위해 바티칸으로 간다. 일요일에는 다른 아이들처럼 축구도 하고 형제들과 친구들과 놀고 싶은 마음은 […]

레드마리아(Redmaria, 2011)

나(감독)는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는 그녀들. 결혼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한 이주 여성 제나린, 50년이 지나서야 진실을 밝힐 용기를 얻었다는 위안부 할머니 리타, 열여섯 어린 나이에 아빠 없는 딸을 낳은 성 노동자 클롯, […]

크레이지 호스(Crazy Horse, 2011)

1951년부터 지금까지 프랑스 대표명소이자 세계적 명성의 아트섹슈얼쇼로 손꼽히는 클럽 그 화려한 명성 뒤에는 혹독한 쇼 비즈니스 세계가 숨어있다. 최고의 쇼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위해 200:1의 경쟁률을 뚫고 힘겹게 오디션을 통과한 20명의 댄서들은 춤과 노래뿐만 아니라, 아방가르드의 정수를 보여주는 누드까지 완벽하게 소화해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