댈러웨이 부인(Mrs. Dalloway, 1997)

오늘은 런던사교계의 중요행사 중 하나인 댈러웨이 부인의 파티가 있는 날. 파티의 안주인 댈러웨이 부인은 직접 파티에 쓸 꽃을 구하기 위해 상쾌한 아침의 거리로 길을 나선다. 우연히 소꿉친구 휴와 마주치게 된 댈러웨이 부인은 문득 피터가 그를 몹시도 싫어했던 것을 떠올리게 된다. ‘그래, 피터 월쉬! 모험을 사랑하고 위선을 혐오했던 사람, 열정적인 키스로 내 가슴을 설레게 했던 남자. 그런데 왜 나는 그와 결혼하지 않았을까?’

어느새 댈러웨이 부인의 마음은 30년전, 그녀의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웠던 순간들로 가있다. ‘그네를 타던 내게 피터가 갑자기 키스를 했을 때는 첨엔 놀랐지만 기분은 그리 나쁘지 않았어. 샐리는 꽃모가지만 댕강 짤라 식탁을 장식해 어른들을 경악시켰었지. 댈러웨이를 “위컴”이라고 소개해서 망신을 당했던 것도 생각나.

그가 “저는 댈러웨이입니다”라고 말한 것을 가지고 샐리와 피터는 “저는 딸러웨이입니다”라고 흉내내며 놀렸었지.’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분방하게 보냈던 처녀시절, 클라리사가 가졌던 순수한 열정이 못내 그리운 댈러웨이 부인은 결혼 이후 딸과 남편 뒷바라지, 파티 안주인 역할에 만족하며 살고 있는 자신이 한심하게 느껴진다. ‘이렇게 살아도 되는 걸까? 무언가 소중한 것을 잃어버리고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파티에 입을 옷을 수선하고 있던 그녀에게 뜻밖의 손님이 찾아온다. 바로 그녀의 첫사랑 피터 월쉬! 30년전 실연의 상처를 갖고 인도로 떠난 피터가 다시 돌아온 것! ‘어머 이럴수가! 온종일 당신을 생각했는데’ 30년만의 재회인데도 댈러웨이 부인은 그가 그리 낯설지 않다. ‘어쩜 하나도 변하지 않았어.

불안할 때 칼을 만지작거리는 습관까지 똑같네.’ 피터는 인도에서 만난 육군 소령의 아내를 사랑하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나이가 들어도 여전히 위험한 사랑을 하고 있는 피터를 보며 댈러웨이 부인은 30년전 자신의 선택을 뒤돌아보게 된다. ‘만약 그때, 리처드 댈러웨이 대신 피터를 선택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히틀러(Hitler: The Whole Story, 1977)

인간 히틀러의 등장에서부터 그의 최후까지를 그린 다큐멘터리로 역사적 교훈과 그 시대 배경을 잘 나타낸 작품이다. 약 2만 피트의 필름에서 편집하였는데 그중에는 일반 공개되지않은 필름도 포함되어 있으며, 히틀러의 애인 에바 브라운이 촬영한 색채 필름에는 히틀러의 선전상 게페르스, 친위 대장 하이드리히 등의 […]

할란 카운티 U.S.A(Harlan County U.S.A., 1976)

현대 자본주의 문명의 요람이자 부의 상징인 미국 한가운데에 불과 삼십년 전까지만 해도 하수도 시설조차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열악한 환경의 마을이 있었다고 한다면 과연 믿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 이 거짓말 같은 사실은 미국 켄터키주의 탄광지역 할란 카운티에서 실재했던 상황으로, 이는 근 […]

그레이 가든스(Grey Gardens, 1975)

J.F 케네디의 영부인이었던 재클린 케네디의 이모인 이디 부비에 빌과 그녀의 딸의 실제 삶을 다큐로 보여준다. 이디 모녀는 이스트 햄프턴에 둘 만이 살 수 있는 집에서 삶을 꾸려나간다. 세상과 단절된 채로 살아가는 듯 하지만 이디 모녀에게 우울함이나 어두움은 찾아볼 수가 없다.

거짓의 F(F For Fake, 1973)

스페인의 이비자 섬에는 희대의 사기꾼 2명이 있다. 세잔느와 르누아르의 모조화를 단숨에 그릴 수 있는 호리와, 호리의 전기를 쓰는 어빙이 바로 그들. 어빙은 이전에 하워드 휴즈의 가짜 전기를 쓴 게 밝혀지지만, 무엇이 진실인지는 알 수가 없다. H.G. 웰스의 소설 “우주 전쟁”을 […]

조나단-갈매기의 꿈(Jonathan Livingston Seagull, 1973)

푸른 바다 위를 날으는 한 무리의 갈매기떼. 무수히 많은 갈매기들 중에 유난히 높이 나르려는 갈매기가 있다.바로 이 영화의 주인공 죠나단 리빙스턴 시걸이다. 유난히 높이 날으려는, 물고기를 잡고 가족을 이루며 사는 것보다 유난히 날으는 것에 몰두하는 죠나단을 다른 동료 갈매기들은 이해하지 […]

센트럴 리전(la region centrale, 1971)

1971년 마이클 스노우 감독에 실험적으로 제작된 영화다. 180분의 분량의 영화지만 캐나다 퀘벡에 있는 한 산 꼭대기에서 겨울산에 대한 24시간동안의 짧은 기록이다. 미리 프로그램된 일정과 전적으로 로봇카메라만을 이용한 촬영으로 제작되었다. 로봇카메라는 같은 장소를 결코 두 번 촬영하지 않았다. 따라서 촬영분은 매우 […]

우드스탁 페스티벌(Woodstock, 1970)

1969년은 그 어느 해와 달랐다. 인간은 최초로 달에 첫 발을 내딛었고, 뉴욕 메츠는 모든 예상을 뒤엎고 그 해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뉴욕의 지방 도시 메델에서의 3일 동안 5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은 그들 세대의 한 획을 긋는 순간을 경험했다. 전례 […]

김미 쉘터(Gimme Shelter, 1970)

앨버트 메이슬즈와 데이비드 메이슬즈 형제가 롤링 스톤즈의 1969년 캘리포니아 앨몬트 스피드웨이 공연 실황을 담아낸 다큐멘터리. 그날 부른 곡 리스트 01. Opening oredits 02. Welcome to the breakfast show 03. Well done, Sonny 04. (I Can’t Get No) Satisfaction 05. Creating […]

하트 오브 런던(The Hart of London, 1970)

캐나다의 잭 챔버스 감독에 의해 만들어진 초현실적인 실험영화다. 주로 단편영화만 만들어 오던 챔버스의 가장 긴 런닝타임(80분)이자 마지막 작품이기도 하다. 런던의 모습과 자연을 긴장감을 유지하며 만들어 냈다. 특히 붉은 숫사슴의 생활과 죽음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 작품이다. 여기서 런던은 영국의 […]

톰 톰 피리쟁이 아들(Tom, Tom, the Piper’s Son, 1969)

미국 어린이들이 수백년동안 듣고 자라온 구전전래동요(라임)로, 영화는 피리 연주자의 아들 톰이 돼지를 훔쳐 달아났다는 가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사건은 눈 깜짝할 사이 일어나지만, 그 순간을 포함한 몇초간은 13개 챕터로 나누어져 2시간여의 상영시간 동안 프레임을 해체하고 분석한 실험적인 영화로 2007년 미국의회 도서관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