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군 이반 1(Ivan the Terrible, Part One, 1944)

16세기 후반 여러 명의 공후(Prince)들이 러시아 땅을 나누어 통치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 모스크바의 대공이었던 이반 4세(니콜라이 체르카소프 분)는 자신이 분열된 영토를 이민족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고 통일시키겠다는 야심에 찬 계획을 갖고 전 러시아의 황제로 취임한다. 호칭은 황제(짜르: Czar)라고 했지만 경쟁 관계에 있는 귀족들의 반발과 질투가 거세졌다.

귀족 출신의 아내 아나스타시야(리우드밀라 세리코프스카야 분)를 황후로 맞이한 이반은 취임 직후부터 귀족들의 반발에 부딪친다. 모스크바 시내 곳곳에 방화 사건이 발생하고 민심이 흉흉해진다. 한편 카잔 지방에 본거지를 둔 몽고의 칸(Khan)은 모스크바가 자신들에게 복종할 것을 요구한다. 이반 대제가 이끄는 러시아군은 이 전쟁에서 승리한다.

한편 전쟁에서 승리한 후 모스크바로 귀환하는 도중 이반은 병에 걸려 중태에 빠지게 된다. 이반의 권력이 약화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던 귀족들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블라지미르 대공(파벨 카도흐니코프 분)을 황제로 앉히려는 음모를 꾸민다.

황제의 아내 아나스타시야와 연인 관계에 있던 쿠르프스키 공작(미카일 나즈바노프 분)은 이반이 사망하면 자신이 아나스타시야의 남편이 되어 왕위를 차지할 수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 속에 이반의 어린 아들 드미트리에게 충성을 맹세한다. 와병 중이던 이반이 기적적으로 건강을 회복하게 되었고, 그 후 이반의 신임을 얻게 된 쿠르프스키는 리보니아와의 전쟁 총사령관으로 출정한다.

이반이 파견한 장군들이 곳곳에서 패배한다는 소식들이 속속 접수되는 가운데, 이반은 궁정에서 지지자들을 하나 둘 잃어가며 외로워지게 된다. 이 틈을 타서 귀족들은 황후 아나스타시야를 독살하게 되는데, 사랑하는 아내를 잃은 이반은 자신이 하는 일이 하느님의 저주를 받은 것은 아닐까하며 고통스러워 한다.

정치적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략으로 이반은 모스크바 근교의 알렉산드로프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수도에 황제가 없는 상황에서 귀족들에게 심하게 수탈당한 백성의 민심이 자신에게 돌아올 날을 학수고대한다. 강한 통치자 이반이 없는 상황에서 러시아의 장래는 없다고 판단한 민중들은 이반 4세에게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와 자신들을 다스려 줄 것을 간청한다.

이 즈음 독일과 리보니아의 방해로 단절되었던 영국과의 항로가 백해 루트를 통해 다시 열려 러시아는 국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대외적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국내외적으로 다시 힘을 얻게 된 이반은 이미 사라진 두 개의 로마를 대신할 수 있는 제3의 로마 즉, 모스크바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원대한 계획을 다시 추진하게 된다. 과거에 자신을 둘러싸고 있던 귀족들이 모두 다 자신의 곁을 떠나거나, 또 남아있어도 신뢰할 수 없게 되자 이반은 평민 출신의 사람들을 대거 등용하여 자신의 통치 체계를 확고하게 한다.

베를린: 도시의 교향악(Berlin: Symphony of a Great City, 1927)

도시 다큐멘터리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대도시 베를린의 하루를 충실하게 담아내고 있다. 인기척하나 없는 도시의 새벽. 길잃은 고양이나 바람에 날리는 신문이 그 정적을 더한다. 하나 둘 서서히 나타나는 인적은 출근하는 노동자들로 이어지면서 도시는 북새통이 바뀐다. 기계는 돌아가기 시작하고 작업복으로 갈아입은 인부들은 생활전선에서 […]

모아나(Moana, 1926)

에스키모의 삶을 촬영한 다큐멘터리 (1922)의 성공에 힘입어 플래허티는 파라마운트로부터 폴리네시아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할 것을 제안받게 된다. 아내와 함께 사모아 섬에 도착한 플래허티는 백인들이 이 섬에 도착하기 이전의 원주민들의 삶의 방식을 자신의 카메라에 담고자 하였다. 는 낚시, 요리, 축제 등 현대문명에 […]

북극의 나누크(Nanook of the North, 1922)

측량기사 출신인 플래허티는 광물 탐사를 목적으로 캐나다 북부지방을 여행하면서 에스키모들의 생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탐사작업 틈틈이 에스키모들의 모습을 사진에 담던 그는 그들의 삶을 영화로 담아야겠다고 결심하게 된다. 플래허티 연구가들에 따르면, 그는 처음부터 이 영화를 장편으로 만들어 극장에 배급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

아 유 레디(2013)

“분단 이후 지금까지 수많은 대한민국 기독교인들의 남북 통일을 위한 기도가 응답받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외 수많은 사역자들과 탈북자들의 생생한 증언은 현 남북통일의 문제가 단순히 하나의 정권으로 합쳐지는 정치적 차원의 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김일성 정권 수립 이후, 공산주의와 주체사상에 동의하지 […]

천안함 프로젝트(Project Cheonan Ship, 2013)

2010년 3월 26일,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PPC-772천안’ 백령도 해상에서 침몰했다.사건 직후, 계속해서 달라지는 정부의 발표는 결국 북한 어뢰 폭침에 의한 공격으로 종결된다. 미흡한 정부 발표에 많은 이들이 의혹을 제기를 했지만 천안함 사건은 반드시 ‘믿어야 하는’ 종결된 사건이라는 인식이 팽배해졌고, 국민들은 […]

슈퍼쇼4 3D(2013)

K-POP의 최정상! 슈퍼주니어 “절정의 무대”  글로벌 한류 제왕다운 다채로운 무대와 그들만의 화끈한 퍼포먼스가 어우러진 역대 최고의 콘서트  멤버들의 색다른 매력이 넘치는 개별무대와 유쾌하고 즐거운 무대 위 토크가 함께한 생생한 라이브 실황  글로벌 팬들과 함께한 감동의 무대! 그리고 슈퍼주니어의 눈물 슈퍼주니어를 사랑하는 이들이 […]

슈퍼 피쉬-끝없는 여정(2013)

인류 최고의 지혜는 ‘강렬한 비린내’ 속에 숨어있다!미처 몰랐던, 비린내 뒤에 숨겨진 흥미로운 이야기 10만년 전 인류가 최초의 작살을 만든 이래 물고기는 인간의 역사에서 상상하지 못할 만큼 놀라운 역할을 해왔습니다. 굶주린 인간의 배를 채워줄 단순한 식량으로만 여겨왔던 물고기! 그들은 과연 인류의 […]

모래가 흐르는 강(Following Sand River, 2013)

2008년, 4대강 착공식 뉴스를 보고 산에서 내려와 물길을 따라 걸으며 무너져 가는 강의 변화를 카메라에 담았다. 수해 예방, 수자원 확보, 수질 개선, 경제발전 등 정부의 화려한 구호와는 정반대로 내 눈이 보고 있는 것은 무너져 가고 파괴되는 섬뜩한 국토의 모습이었다. 낙동강의 […]

소명 하늘의 별(Calling 4, 2013)

2010년 8월 서울의 한 교회에 분향소가 차려졌다. 44세의 나이…필리핀에서 사역하던 조태환선교사가 괴한이 쏜 총에 맞아 생을 마감했다,그를 기억하는 많은 사람들이 눈물로 그를 배웅하는데…필리핀 아렌다 쓰레기 마을…마닐라에서 배출되는 각종 쓰레기가 모여드는 곳.대학 때 등록금을 벌기 위해 했었던 공사판 막노동일로어렵게 모은 5000만 […]

그리고 싶은 것(The Big Picture, 2012)

일본에서 도착한 한 통의 편지,“아이들을 위해 ‘평화’를 그려주세요” 2007년, 한국, 중국, 일본의 작가들은 각자가 생각하는 ‘평화’를 그림책으로 완성해 동시출판하기로 한다. 한국의 그림책 작가 권윤덕은 위안부 피해여성 심달연 할머니의 증언을 토대로,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를 그려내기로 결심한다. “ ‘위안부’는 일본 정부가 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