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 네이쳐(Human Nature, 2001)

호르몬 이상으로 온 몸에 털이 자라는 여자, 라일라. 지성과 미모를 갖췄어도 그녀가 얻을 수 있는 직업이라고는 서커스단의 여자 킹콩 역이 고작이다.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며 하루 하루를 살아가던 어느 날, 라일라는 자살을 결심한다. 욕실에서 자신의 팔목을 면도칼로 그으려는 순간, 생쥐 한 마리가 마치 그녀를 비난하는 듯이 빤히 쳐다본다. “난 온 몸이 털로 뒤덮였어도 전혀 불행하지 않아”라고 말하는 듯한 생쥐의 눈빛을 보며, 라일라는 인간사회의 잣대로 자신의 외모를 저주해왔던 어리석음을 깨닫는다.

라일라는 자연다큐 소설을 발표해 평생 먹고 살 돈을 벌자마자, 속세와 인연을 끊고 숲으로 들어가 자연과 벗하며 새로운 행복을 찾는다. 하지만, 성욕과 사랑에 목마른 라일라는 독수공방의 고통까지 감내하기엔 역부족. 결국 그녀는 문명세계로 돌아와 사랑할 짝을 찾아내지만, 그 남자가 하필이면 털난 짐승과 야만성을 혐오하는 남자, 나단이었으니…

에티켓을 생명처럼 중요시하는 양부모에게 양육된 행동주의 심리학자, 나단. 양부모의 철저한 교육철학에 힘입어 그는 강박적인 에티켓 신봉자로 성장한다. 문명과 예절이 세상을 더 안전하게 만든다는 믿음으로 쥐나 기니아피그에게 테이블 매너를 가르치는 연구에 몰두하는 나단은 이러한 실험이 지구의 평화를 지키는 일이라는 신념에 빠져 있다.

왜소컴플렉스(Tiny Penis:세상에서 자기 것이 가장 작다고 생각한다)로 서른을 넘기도록 숫총각으로 지내온 나단은 어느 날, 털제거시술까지 받으며 파트너 찾기에 여념이 없던 라일라를 만난다. 이들은 첫눈에 서로의 욕망을 확인하고, 행복한 동거에 들어간다. 라일라는 매일같이 털을 깎는 고통을 감내하면서, 나단과 사랑을 나누지만, 나단은 우연히 그녀의 털의 비밀을 알고 뜨악해지는데…

자신을 원숭이라 굳게 믿고 있는 아버지와 함께 깊은 숲속에서 원숭이처럼 자라온 야성인간, 퍼프. 한때 동물원 원숭이 우리를 탈취하려다 미수에 그친 후 정신병원 신세를 지게된 퍼프의 아버지는 인간화 교육을 받고 퇴원하여 인간생활에 적응해보려고 나름대로 노력한다.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고 평범한 샐러리맨으로 잘 살아가던 어느 날, 케네디 암살사건으로 충격을 받고 완전히 돌아버린 아버지;“원숭이는 같은 종족의 우두머리를 암살하지 않는다!” 이렇게 인간에게 환멸을 느낀 아버지와 숲으로 들어가 이십여년간 문명과 격리되어 성장한 퍼프는 어느 날, 숲으로 하이킹을 온 라일라와 나단의 눈에 띄어 문명세계에 첫발을 디디게 된다.

나단은 문명의 때가 묻지 않은 순진무구한 야성인간 퍼프가 자신의 연구를 완성시켜줄 최상의 실험 재료가 될 것임을 확신한다. 나단은 투명 플라스틱 셀에 퍼프를 가둬놓고 인간의 말(English)과 테이블 매너, 오페라 감상법, 적절한 타이밍에 박수치기 등 소위 문명인으로서 갖춰야할 매너와 지식을 가르친다. 퍼프가 말을 안들을 땐 그의 목에 걸어놓은 개목걸이에 무차별 전기충격을 쏘아대면서…

나단은 실험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고 생각하고 퍼프를 플라스틱 셀에서 나오게 하여 첫 야외실습을 데리고 나간다. 처음 문명의 세상에 나온 퍼프. 퍼프의 눈엔 모든 것이 신기하기만 하다. 그는 나단에게 교육받은 대로 거리에서, 레스토랑에서, 오페라 하우스에서 완벽한 매너를 과시하지만, 야성의 본능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으니, 그것은 바로 암컷만 보면 시도 때도 없이 발동하는 “성욕”.

고급레스토랑에서 예쁜 웨이트리스를 보자마자 성욕이 발동한 퍼프는 그녀를 식탁에 때려눕히고 교미를 하려는 헤프닝을 벌인다! 나단은 즉시 퍼프에게 “성욕억제훈련”을 실시한다. 나단은 온갖 야한 포르노사진을 걸어놓고, 퍼프가 성욕을 일으킬 때마다 강력한 전기충격을 쏘아가며 그를 금욕주의자로 길들인다.

문명인이 되기 위한 마지막 관문인 “성욕 억제 훈련”까지 무사히 통과한 퍼프는 나단과 함께 숱한 세미나와 순회 강연을 다니면서 부와 명성을 맛보지만, 억눌린 성욕을 풀길 없는 퍼프는 남몰래 밤거리를 헤메며 창녀를 찾는 이중 생활을 하게 된다.

나단의 실험 때문에 순수한 야성을 잃어가는 퍼프의 모습을 지켜보며 안타까워하던 라일라는 퍼프를 플라스틱 셀에서 탈출시켜 야성을 재교육시킬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한번 문명의 맛을 본 퍼프가 다시 야생에 적응하는 일이 가능할 것인가.

영화의 역사(Histoire Du Cinema, 1988)

영화의 역사 1부 : 문학, 철학, 회화, 음악, 현대사와 관련한 다양한 인용을 통해 영화 탄생의 의미와 역사 / 이야기의 고독을 말한다. 모든 역사들(Toutes les histoires, 1988년. 51분)하나의 역사(Une histoire seule, 1989년. 49분) 영화의 역사 2부 : 역사를 표현하는 영화의 힘과 […]

가늘고 푸른 선(The Thin Blue Line, 1988)

에롤 모리스는 1976년에 일어난 한 살인사건에 대해 수년 동안 조사하던 중 랜덜 애덤스가 사형선고를 받은 판결에서 큰 모순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에롤 모리스는 인터뷰를 통해 사건 당일에 애덤스와 함께 있었던 데이비드 해리스의 자백에 가까운 코멘트를 따낸다. 이로 인해 사형선고로 목숨을 […]

셔먼의 행진(Sherman’s March, 1986)

로스 맥켈위는 남북전쟁 당시 윌리엄 셔먼 장군의 남부 전선 침투가 남긴 영향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려고 한다. 하지만 이 과정은 자신의 삶 안에 오고 가는 여인들, 그리고 반복되는 핵 참사에 관한 꿈, 그리고 할리우드 배우 버트 레이놀즈에 의해 계속해서 곁길로 새고 […]

쇼아(Shoah, 1985)

쇼아(히브리어로 ‘절멸’을 의미)란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나치가 유럽 전역에 있는 유대인을 비롯한 특정부류의 사람들을 집단 학살 한 것을 지칭한다. 감독 란쯔만은 8년간의 촬영과 350시간 분의 인터뷰를 9시간이 넘는 장편 다큐멘터리로 완성시켰다. 란쯔만은 나치 집단수용소도 아니고 하나의 전체로서의 나치체제도 아니며 […]

하비 밀크의 시대(The Times of Harvey Milk, 1984)

하비 밀크는 게이 활동가로서는 최초로 샌프란시스코의 시정 감시관(Supervisor)에 선출된 인물이다. 그러나 공개적으로 자신이 게이임을 선언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의 산적한 문제를 진보적인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했던 그의 노력은 수많은 편견과 장애물에 부딪치게 되고, 결국 그를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다.(2011년 제12회 서울LGBT필름페스티벌)

코야니스카시(Koyaanisqatsi, 1983)

카시 삼부작의 첫 작품. ‘코야니스카시’란 호피 족 인디언 말로 ‘균형 깨진 삶(Life Out of Balance)’라는 뜻이다. 뚜렷한 내러티브도 대사도 없이 그저 음악과 영상으로만 되어 있는 이 영화는, 고대 인디언들이 그린 벽화에서 시작한다. 이후 광활하고 경외로운 대자연, 그리고 인간이 약간의 가공을 […]

태양 없이(Sunless, 1983)

이미지와 사색으로 구성된 실험적인 다큐멘터리. 주인공은 전세계를 여행하는 카메라맨 친구가 보낸 편지를 읽어 내려가며 회상에 잠긴다. 성공적인 산업국가 일본과 제3세계 국가인 기니비사우의 병치는 곧 기억과 죽음의 시나리오이기도 하다. 이 영화는 불완전한 사람의 기억과 개인사, 그리고 역사에 대한 고찰이다.

너무 이른, 너무 늦은(Too Early, Too Late, 1982)

1980년 여름, 영화 연출의 오랜 파트너였던 다니엘 위예와 장 마리 스트라우브는 프랑스와 이집트간의 사람들, 땅, 사회 등의 변화하고 있는 관계에 대한 조사를 필름에 담는다. 형식과 구조는 프레드리히 엥겔스가 그의 문하생인 칼 카우츠키에게 보낸 편지와 이집트인 학자 마흐무드 후세인의 강연 내용에 […]

홀로코스트(Cannibal Holocaust, 1980)

아프리카 탐험, 월남전등의 생생한 현지취재로 명성을 떨쳤던 기록 영화팀이 앨런 감독과 조감독 페이, 카메라맨 재크와 마크등 네명은 아마존 오지의 비밀을 필름에 담겠다고 떠난 뒤 두달이 넘도록 소식이 끊기고 불길한 상상이 계속되자 그들을 후원했던 방송국에서는 수색대를 편성해 아마존으로 급파한다. 정글을 헤매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