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 어게인(Used People, 1992)

1946년, 미국 뉴욕 퀸즈에 있는 이탈리아인 마을의 어느 술집에 들어선 유태인 잭 버먼이 아내에게 작별편지를 쓴다. 그는 자신이 집을 나가는 것이 자기 때문에 고생하는 아내를 위하는 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술집 주방장 조 멜레단드리의 생각은 다르다. 그는 아내를 위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녀와 춤추는 것이라며 잭에게 춤 스텝을 가르쳐준다.

그날 밤, 조는 잭이 집으로 돌아가 아내와 춤추는 광경을 창 밖에서 지켜보다가 잭의 아내 펄에게 한눈에 반해 버린다. 그의 대책 없는 짝사랑은 23년 간 계속된다. 그리하여 1969년 여름. 어느 무더운 날 남편 잭이 죽어 장례식을 마치고 작은 아파트로 돌아온 아내 펄은 조의 방문을 받는다. 조는 수많은 문상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남편을 막 묻고 돌아온 펄에게 당돌하게도 데이트 신청을 한다. 그러잖아도 자기들 문화만을 고집하는 유태인 마을에서 이런 이변이 일어났으니 만인의 이목이 집중되는 건 당연한 일.

조와 펄의 사랑줄다리기는 여름 내내 계속된다. 그건 단순히 사랑의 줄다리기만은 아니다. 문제는 펄인데, 그녀는 본인의 표현을 빌자면 ‘늘 몽유병자처럼 방황하는’ 남편 잭과 37년을 살면서 가슴에 아주 큰못이 박힌 상태. 자신의 삶을 송두리째 묻어버리고 오직 가사에 힘겹게 매달려 살아온 그녀에게 결혼생활은 지독히 한스러운 것이었으므로 또 한번의 결혼은 생각도 못할 일이다.

노모 프리다는 늘 신경 건드리는 소리만 하고, 어려서부터 비만 콤플렉스에 시달린 큰딸 비비, 그리고 작은아들이 돌도 되기 전에 죽어 괴로워하는 둘째 딸 노마는 둘 다 이혼한 상태. 뚱뚱하고 못생긴 비비는 엄마가 예쁜 노마만 위하고 자기한테는 정성 하나 들이지 않았다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하고, 노마는 스스로 환상을 만들어 영화 속 여주인공이 된 것처럼 행동하는 것으로 어린 아들을 잃은 슬픔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게다가 이번엔 노마의 큰 아들 스위피마저 자기를 유난히 사랑해 준 외할아버지의 죽음에 충격을 받아, 외할아버지 혼령이 자기 속에 들어와 자기를 슈퍼맨으로 만들었다며 고압전류가 흐르는 철로를 만지는 등의 스턴트를 계속한다. 모든 뿌리깊은 아픔들을 치료하는 의사는 다름 아닌 조 멜레단드리. 그는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구절에서 티벳 속담, 찰리 채플린의 재담에 이르기까지 동서고금의 수많은 금언들을 인용하면서 천사 같은 자애로움과 인내심으로 펄의 가족 각각의 멍든 가슴을 어루만져, 그들에게 인생의 참뜻을 은연중에 가르친다.

슬픔과 동정(The Sorrow And The Pity, 1969)

프랑스의 마르셀 오펄즈라는 좀 생소한 감독이 만들었고 프랑스, 스위스, 서독의 공동 자본으로 만든 작품인데, 특이한 점이라는 것은 다큐멘타리와 픽션이 혼합된 일종의 다이렉트 시네마라는 점이다. 영화의 주요 내용은 세계 제2차대전 당시 독일군 점령하의 프랑스가 배경이며 거기에서 활동했던 레지스탕스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

세일즈맨(Salesman, 1969)

세일즈맨은 미국 자본주의의 최전선에서 뛰고 있는 사람들이다. 소비자의 심리를 파고들어 구매 욕구를 자극하고 때론 만들어내기도 한다. 세상에서 팔지 못할 것은 없다는 것이 이들의 신조이다. 의 등장인물들은 집집마다 방문하여 성경을 판매하는 사람들이다. 네 명이 한 조로 이 도시 저 도시를 떠돈다. […]

하이 스쿨(High School, 1968)

필라델피아에 있는 백인중산층 학생들을 위한 공립학교인 노스이스트 고등학교를 다큐멘터리 같은 시각으로 바라본다. 교사과 관리의 권위주의와, 학교가 학생에게 자기표현과 비판적 사고를 길러주지 못하고 성적지상주의와 취업에만 열을 올린다. 학교가 무의미한 겉치레와 형식만 강조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분명히 드러낸다.

돼지의 해(In the Year of the Pig, 1968)

영화는 공산주의의 침투로부터 세계를 보호한다는 명목하에 미국이 동남아 정세에 개입하여 식민화 시키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식민화의 싸움에서 중국이 가장 먼저 물러나고 뒤이어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열강들이 손을 뗀다. 또한 영화는 베트남 전쟁이 결코 피할 수 없었던 전쟁도 아니었을뿐만 아니라 미국의 주장대로 […]

불타는 시간의 연대기(The Hour of the Furnaces, 1968)

제3세계 영화를 언급함에 있어 절대 빠질 수 없는, 기념비적 다큐멘터리. 1966~7년 아르헨티나의 정치·사회·문화에 대한 종합보고서인 이 작품은, 서구의 경제와 문화에 잠식된 라틴아메리카의 현실을 신식민지라 칭하며 보는 이에게 투쟁 의식을 고취시키는 프로파간다다. 뉴스릴·오페라·프란츠 파농과 피델 카스트로의 연설·인터뷰들이 나열되고 상업광고기법을 과감히 도입하는 […]

리포트(Report, 1967)

존 F. 케네디가 저격된 날부터 TV로 방영된 암살장면들을 슈퍼8미리 흑백필름으로 기록하여 4년동안 편집의 편집을 거쳐 13분의 길이로 세상에 내놓았다. 암살된 직접적인 장면들보다는 그 후에 재생산된 이미지와 음향들을 모아 또 다른 장면을 재현내 낸다.

티티컷 풍자극(Titicut Follies, 1967)

메사츄세츠주의 브릿지 워터에 있는 주립 정신병원에 있는 죄수, 교도관, 정신분석가 등의 다양한 삶의 양태를 다루고 있다. 그 주립 정신병원은 정신병원과 감옥의 중간 형태, 즉 정신병으로 인하여 범죄를 저지른 죄수를 수용하고 있다. 제목인 는 그 병원에서 해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연례공연의 이름이다. […]

돌아 보지 마라(Don’t Look Back, 1967)

1965년 봄, 23살의 반골 음유시인, 밥 딜런은 3주 동안 영국에서 머물게 된다. 펜네베이커는 공항에서 복도까지, 호텔방에서 기자 회견실까지, 그리고 인터뷰와 콘서트까지 따라다니면서 그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밥 딜런이 사운드 트랙 “Subterranean Homesick Blues”에 맞춰 가사를 보여주는 오프닝 장면부터 딜런의 장난기 […]

파장(Wavelength, 1967)

<파장>은 구조영화라는 실험영화에 있어서 하나의 대표적 경향성을 널리 알린 마이클 스노우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이 영화는 고정된 카메라로 빈 방을 비추며, 마치 한 번의 테이크로 촬영한 듯, 벽에 붙은 물결의 사진을 향해 45분간 아주 천천히 줌인한다. 줌 인 되는 동안 […]

전쟁게임(The War Game, 1965)

흑백화면임에도 불구하고 보기 힘들 정도로 핵전쟁의 위험과 그 후의 처참함을 담고 있어 제작을 했던 BBC조차도 방송금지 판정을 내렸다. 영국의 뉴스 제작팀이 촬영한 것으로 설정된 페이크 다큐멘터리로 대량 학살로 인해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을 부러워할 만큼 리얼하게 상황을 있는 그대로 담고 […]